목회관련자료/통계자료

[통계로 본 60년] 인구 2.4배↑..GDP 746배↑

하마사 2008. 8. 15. 08:25
[통계로 본 60년] 인구 2.4배↑..GDP 746배↑
연합뉴스

 

통계청이 14일 건국 6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경제.사회상 변화를 수치로 풀어 제시했다.

국토.인구.국민계정.노동.물가.국제수지.교육.사회 등 분야로 나눠 대한민국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다각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다.

60년간 우리나라 인구는 2.4배로, 국토는 6.5% 늘어났다. 그러나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은 746배로, 무역규모는 3천167배로 확대됐다. 신흥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문턱으로 올라서는 눈부신 비약이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43년 새 13%포인트나 늘었지만 출산율이 낮아지고 고령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부작용도 드러나고 있다.

통계청의 ’통계로 본 대한민국 6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인구는 건국 60년 동안 2.4배 증가했다.

인구는 1949년 2천19만명에서 1967년에 3천만명, 1984년에 4천만명을 넘어섰으며 2007년에 4천845만명을 기록했다.

인구 구성은 크게 노령화됐다. 연령계층별 인구구성비는 15세 미만 인구가 1955년 41.2%에서 2007년 18.0%로 절반 이하로 감소했고, 65세 이상 인구는 1955년 3.3%에서 2007년 9.9%로 3배나 늘었다.

우리 국민 전체의 한 가운데 있는 연령이 1960년 19.0세에서 2006년 35.4세로 16.4세나 높아졌다. 기대수명이 길어진 것도 인구노령화의 배경이 됐다. 기대수명은 1970년 61.9세에서 2006년 79.2세로 17.3세가 늘어났다. 남자는 58.7세에서 75.7세로, 여자는 65.6세에서 82.4세로 올라갔다.

출생아수는 1970년 100만7천명에서 꾸준히 감소해 2007년에는 49만7천명으로 1970년에 비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여아 100명당 남아수는 1970년 109.5명에서 점차 증가해 1990년에는 116.5명까지 높아졌지만 2007년에는 106.1명으로 낮아졌다. 1가구 1자녀가 정착되면서 남아선호 현상이 사라지고 있다는 의미다.

지구 온난화 등의 여파로 서울의 연간 평균기온은 1948년 11.7℃에서 2007년 13.3℃로 1.6℃ 상승했다.

대한민국의 국토면적은 1949년에 9만3천634㎢에서 2007년 9만9천720㎢로 6.5%(6,086㎢) 늘어났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725배, 제주도 면적의 3.3배가 새로 생긴 것이다. 간척사업 등의 영향으로 국민이 살 땅이 넓어졌다는 의미다.

농경지 면적은 1949년 2만535㎢에서 1970년대 초반까지 증가하다 2007년에는 1만9천901㎢로 줄었다. 공장용지나 학교용지는 1980년에 비해 각각 6.6배, 2.2배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은 건국 60년 동안 746배나 급증했다. 국내총생산은 1953년 13억달러에서 1972년에 100억달러대, 1986년에 1천억달러대, 1995년에 5천억달러를 넘어 2007년 현재 9천699억달러로 올라섰다.

이에 따라 1인당 국민소득(GNI)은 1953년 67달러에서 2007년 2만45달러로 2만달러 시대에 진입했다.

GDP는 지금까지 1956년(-1.3%), 1980년(-1.5%, 제2차 석유파동), 1998년(-6.9%, 외환위기)에 세 차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을 제외하고 꾸준히 증가해 연평균 6.8% 성장했다.

산업구조는 1953년에는 농림어업 47.3%, 광업.제조업 10.1%, 서비스업 40.0%로 농림어업의 비중이 높았지만 1960년대 이후부터 제조업분야가 성장했으며, 1980년대부터는 서비스업의 성장이 두드러져 2007년에는 서비스업 57.6%, 광업·제조업 28.3%, 농림어업 3.0% 구조로 변했다.

1953년에 비해 서비스업의 비중은 17.6%포인트, 광공업은 18.2%포인트 높아진 반면 농림어업의 비중은 44.3%포인트 줄어들었다. 신흥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문턱으로 들어서면서 산업구조가 재편되고 있다는 의미다.

농가수는 1949년 247만4천가구에서 1970년을 정점으로 점차 줄어 2007년에는 절반 수준인 123만1천가구가 됐다. 농가인구도 2007년에는 327만4천명으로 1949년의 1천441만6천명에 비해 4분의 1에도 못 미친다. 농가당 인구도 2.7명으로 1949년 의 5.8명에 비해 3.1명이 줄었다.

자동차 생산대수는 1962년 1천800대에서 2007년에 408만6천여대로 급증했다. 이중 69.7%인 285만여대를 수출됐다.

반도체 완제품 생산은 1980년 1억7천만달러에서 2007년에는 306억8천6백만달러로 181배 증가했다.
 
입력 : 2008.08.14 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