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예화

뱀장어 양식

하마사 2016. 6. 23. 10:39
독일 영화 '양철북'에서 뱀장어는 혐오의 상징으로 등장한다. 미끼로 던진 말머리를 끄집어내자 눈코입에서 스멀스멀 뱀장어가 기어나온다. 그 뱀장어로 요리를 만들어 임신한 아내에게 강요한다. 아내는 구역질한다. 영화를 본 지 30년이 다 돼 가는데도 역겨운 느낌이 남아 있다. 나치 지배를 받는 폴란드가 무대였다. 말머리 속 뱀장어는 파시즘에 기생하는 인간, 뱀장어 요리는 파시즘의 폭력을 상징하지 않았나 싶다.

▶일본 영화 '우나기'에서 뱀장어는 다른 모습으로 나온다. 불륜 아내를 살해한 주인공이 8년 뒤 감방에서 키우던 뱀장어 한 마리를 들고 가석방된다. 세상과 담을 쌓은 주인공 곁에는 그 녀석뿐이다. 주인공은 점점 세상의 온기 속에서 공감 능력을 되찾는다. 새 이성도 만난다. 훗날 주인공이 다시 교도소로 들어갈 때 여자는 "기다리겠다"고 한다. 그는 이렇게 답했다. "뱀장어가 여행하는 거 아닌가요?" 이걸로 끝이다. 내 나름대로 '꼭 돌아가겠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만물상] 뱀장어 양식

 

▶뱀장어는 어감이 안 좋다. 생긴 것도 별로다. '양철북' 이미지가 딱 맞는다. 하지만 뱀장어의 일생은 '우나기' 이미지에 훨씬 가깝다. 신비한 생명이다. 민물에서 5~12년을 살다 바다로 나간다. 3000㎞를 헤엄쳐 고향인 태평양 마리아나 해구에서 알을 낳고 생을 마감한다. 연어와 반대 코스다. 알에서 나온 치어, 실뱀장어는 엄마·아빠가 간 길을 따라 민물로 돌아간다. '무한 회귀(回歸)'라고 할 수 있다.

▶수많은 실뱀장어가 민물에 도착하는 순간 인간 손에 잡힌다. 수조에서 몇 개월 속성으로 자라 도마에서 생을 마치고 음식점 불판에 오른다. 우리가 지금 먹는 모든 뱀장어는 어린 시절 3000㎞ 바닷길을 돌파한 정말 대단한 녀석들이다. 얼마나 많이 잡아먹는지 멸종 위기에 다가가고 있다고 한다. 일본인이 7할을 먹는다. 중국인도 장어 맛을 알기 시작했다니 큰일이다. 민물과 바닷물을 막는 인간의 갖가지 개발도 그들의 귀향길을 막고 있다.

▶인간이 뱀장어 양식(養殖)에 도전한 게 백 년이 넘는다. 뱀장어의 무한 회귀를 인공으로 재연하는 셈이다. 인공수정으로 만든 치어가 생식 능력을 갖춘 뱀장어로 자라 대(代)를 잇는 반복이다. 일본은 6년 전 성공했다. 한국도 얼마 전 드디어 성공했다고 한다. 하지만 대량생산에 도달해야 밥상에 오를 수 있다. 일본은 아직 이 벽을 넘지 못했다. 뱀장어의 삶 대부분이 아직 베일에 가려 있기 때문이다. 민물의 실뱀장어들이야말로 지금 인간의 성공을 위해 기도하고 있지 않을까.

 

-조선일보, 2016/6/23

 

-------------------------------

 

민물장어 완전 양식 성공… 4兆 시장 잡아라

- 국립수산과학원 세계 2번째 성공
새끼인 실뱀장어 1㎏에 2000만원… 전세계 수요 연간 200t 규모
한국도 60~90% 수입에 의존… 대량생산에만 성공하면 '노다지'

16일 오후 부산 기장군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교육연구동. 20ℓ 수조에 상어알로 만든 먹이를 넣어주자 민물장어 새끼인 '렙토세팔루스' 10여마리가 달려들었다. 천장에 달린 유량(流量) 조절기가 1분 단위로 1ℓ의 물을 수조로 공급해 주고 있었다. 국립수산과학원 김대중(51) 박사는 "20분마다 수조 물 전체를 갈아주는 셈"이라며 "하루에 한 번씩 수조도 아예 교체한다"고 말했다. 건물엔 이런 수조가 45개로, 총 2000여마리의 렙토세팔루스가 자란다.

이 렙토세팔루스는 지난달 8일 태어난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 2세대 민물장어다. 2013년 인공수정으로 태어난 4463번, 9143번 장어가 이들의 어미다. 인공수정으로 만든 장어가 다시 어미가 돼 새끼를 낳는 것을 '완전 양식'이라고 하는데, 국립수산과학원이 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전 세계 실뱀장어 시장 4조원대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미 2012년 인공 실뱀장어 생산에 성공했다. 그러나 이렇게 태어나 자란 장어는 새끼를 낳지 못했다. 장어 양식 연구는 인공 부화→인공 실뱀장어 생산→완전 양식→대량 생산의 순서로 진행되는데, 이번에 완전 양식 기술이 개발되면서 장어 대량 양식에 한 발 더 다가서게 됐다.

부산시 기장군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교육연구동 내 뱀장어 연구실.
부산시 기장군 국립수산과학원 생명교육연구동 내 뱀장어 연구실. 빛이 잘 안 들어오는 심해에 사는 민물장어의 생태를 감안해 파란색 조명을 설치했다. /김종호 기자

민물장어의 원래 이름은 뱀장어다. 태평양 마리아나 해구 근처 200~300m 심해에서 태어나 우리나라 강으로 올라와 살다 바다로 돌아가 알을 낳고 죽는다. 우리가 먹는 민물장어는 '실뱀장어' 상태인 민물장어를 강에서 잡아 양식장에서 7~10개월간 키워 출하한 것이다. 양식장에서 새끼를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없는 '불완전 양식'이다.

장어 양식 연구가 더딘 것은 심해에서 사는 민물장어의 생태 상당 부분이 아직 베일에 싸여 있기 때문이다. 국립수산과학원 연구팀도 그동안 숱한 실패를 거듭했다. 작년에도 완전 양식에 도전했지만 어미 장어들이 모두 죽었다. 김대중 박사는 "바다에서 알을 낳는 장어의 특성을 고려해 열흘 정도 기간을 두고 민물에서 해수로 옮겼는데 적응 기간이 너무 짧았던 것 같다"며 "올해는 3개월 동안 바닷물과 민물의 중간 상태에서 적응할 시간을 줬더니 무사히 새끼를 낳았다"고 했다. 하지만 대량 양식으로 가려면 앞으로 갈 길이 멀다. 지금은 상어알에 비타민, 무기질 등을 섞어 먹이는데 대량 공급이 어려운 상어알을 대신할 먹이 문제도 해결하고, 성격이 예민한 장어가 대형 수조에서 안정적으로 자라게 하는 것도 숙제거리다.

2020년까지 대량 생산 기술 개발

정부가 장어 양식에 공들이는 이유는 규모가 상당한 시장이기 때문이다. 전 세계적 한 해 실뱀장어 수요는 200t. 돈으로 환산하면 4조원대다. 우리나라도 필요한 만큼 강에서 실뱀장어가 잡히질 않아 양식에 사용되는 양의 60~90%를 수입에 의존한다. 지난해 기준으로 실뱀장어 가격은 1㎏당 2000만원이었다. 연간 국내에서 필요한 실뱀장어 20t을 양식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4000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가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전 세계적으로는 중국이 민물장어 생산량의 80%를 공급하는 최대 생산국이고, 일본은 전체의 70%를 먹는 최대 소비국이다. 이번 기술 개발로 실뱀장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한·일 연구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일본은 우리보다 앞서 2001년 인공 실뱀장어 생산, 2010년 완전 양식에 성공했지만 아직 대량 생산까지는 가지 못했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중국과 대만도 인공 부화에만 성공했을 뿐 아직 구체적인 성과는 없는데 대만의 경우 최근 연구 개발에 다시 속도를 내고 있다"고 했다. 윤학배 해양수산부 차관은 "연구 역량을 총동원해 2020년까지 대량 생산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조선일보, 2016/6/22

'설교 > 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전벨트  (0) 2016.06.28
먼 바다 고등어 값  (0) 2016.06.24
비판하기 전에  (0) 2016.06.23
北 탱크를 부순 '호국 영웅'의 불편한 진실  (0) 2016.06.17
탐욕 시계  (0) 2016.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