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영지회(絶纓之會)
【絶끊을 절. 纓갓끈 영. 之어조사 지. 會모일 회】 [출전] 설원(說苑)
갓끈을 끊고 노는 잔치. 어려움에서 구해주면 반드시 그 은혜를 잊지 않음.
초(楚)나라 장왕(莊王)이 전투에 이겨 궁중에서 성대한 연회를 베풀고 문무백관을 초대했다. 신하들이 모두 큰 소리로 환성을 지르며 왁자지껄 소란했다. 바로 그때 등불이 꺼지더니 왕의 애첩이 비명을 질렀다. 어느 누가 그녀의 가슴을 더듬고 희롱했던 것이다. 그녀는 놀라면서도 그 사나이의 갓끈을 잡아 뜯고는 왕에게 간청했다.
"폐하, 등불을 켜게 하시고 갓끈이 없는 자를 잡아 주세요."
불만 켜면 갓끈이 끊긴 자가 바로 감히 왕의 애희(愛姬)를 희롱한 자라는게 드러날 판이었다. 그러나 왕은 도리어 불을 켜지 못하게 하고 큰소리로 모두에게 갓끈을 떼어 던지도록 했다. 따라서 다시 불을 켜도 그 자리에 모인 모든 장수가 갓끈을 뗀 뒤라 누가 그런 무엄한 짓을 했는지 드러나지 않았다.
3년 후 진(秦)나라와 전쟁이 벌어져 진군에 패한 왕이 위급에 빠져 있자 목숨을 내던져 분전하여 왕을 구하고 그의 용기 덕분에 드디어 대승을 거두게 한 장수가 있었다. 장웅(蔣雄)이란 장수였다. 장왕이 이상하게 생각하여 그를 불러 물었다.
"나는 평소에 그대를 특별히 우대한 것도 아닌데 어째서 그토록 죽기를 무릅쓰고 싸웠는가?"
그러자 그 장수가 엎드려 말했다.
"저는 이미 죽은 목숨이었습니다. 3년 전에 갓끈을 뜯겼던 것은 바로 저였습니다. 그때 폐하의 온정으로 살아날 수 있었으니 그 뒤로는 목숨을 바쳐 폐하의 은혜에 보답하려 했을 뿐입니다."
이 싸움에서 진에게 이기고 난 다음부터 초는 차츰 강대해져서 장왕은 급기야 춘추오패(春秋五覇)의 한 사람이 되었다.
수많은 고사성어중에 있는 사나이와 사나이의 이야기다.
힘있는 자가 약한 자를 돕는 것, 가진 자가 없는 자에게 베푸는 것, 아는 자가 모르는 자에게 가르치는 것은 마음만 먹으면 쉬울 수도 있다.
그것이 비록 베푼 자에게는 쉽게 잊어버리는 작은 것이라 할지라도 은혜를 입은 자는 평생을 두고 오래도록 가슴에 간직할 일이 될 수 있다.
장왕은 수많은 궁녀중 하나에 불과한 애희를 희롱한 것을 취중에 있을 수 있는 일이라 엄하게 다스리지 않고 갓끈을 끊게 하고 논 것이 나라를 보존하게 되는 은혜가 되었으니 현명한 군주였음이 분명하고, 그 은혜를 가슴속에 담아두고 있다가 보은(報恩)한 장웅의 의리도 멋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설원(說苑): 중국의 교훈적인 설화집. 전한(前漢) 말에 유향(劉向)이 편집하였다. 군도(君道). 신술(臣術)등 20편(編)으로 구성되었다. 같은 저자의 《신서(新序)》와 그 체재가 비슷하며, 내용도 중복된 것이 있다. 고대의 제후나 선현들의 행적이나 일화․우화 등을 수록한 것이며 위정자를 설득하기 위한 훈계독본으로 이용하였다.
'설교 > 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장 불쌍한 사람 (0) | 2009.12.31 |
---|---|
돌쇠놈과 돌쇠네 (0) | 2009.12.30 |
성공을 부르는 'ㄲ' 8가지 (0) | 2009.12.24 |
만델라의 정원가꾸기 (0) | 2009.12.07 |
평균 2천번 (0) | 2009.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