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회관련자료/기독교자료

“어찌 살아야 할까” 목회자 월 소득 고작 202만원

하마사 2017. 2. 8. 09:09

국내 목회자의 소득 수준이 우리나라의 4인 가구 최저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노후준비 수단으로 목회자의 절반 정도가 교단연금(은급) 제도를 꼽았지만 4명 중 1명은 노후준비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사 수입, 최저 생계비의 75%
국민연금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의 ‘성직자 노후소득보장 실태 분석’ 설문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설문은 지난해 4월 29일부터 7월 4일까지 60세 미만의 개신교 목회자 262명을 비롯해 천주교, 불교 성직자 등 798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합동 및 통합, 기독교대한감리회, 한국기독교장로회 등 4개 교단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목회자의 월평균 수입은 202만1000원으로 집계됐다. 정부가 제시한 2017년 4인 가구의 법적 최저생계비(기준 중위소득 60%)인 268만428원의 4분의 3 수준(75.4%)이다. 우리나라 국민이 기초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소득조차도 벌어들이지 못할 정도로 팍팍한 삶을 감내하고 있는 것이다.


소득 구간별로는 200만~250만원 미만이 31.7%로 가장 많았다. 이어 250만원 이상(24.8%), 150만~200만원 미만(19.1%), 50만~100만원 미만(5%) 등의 순이었다. 목회자들의 월평균 지출액은 131만6900원이었다. 지출 항목별로는 식비(57.6%)가 가장 많았고, 교통·통신비와 교육비, 주거비 등이 많이 든다고 중복 응답했다.


목회자 70%, “은퇴 뒤 건강·생계 가장 걱정”
‘노후에 대해 걱정한다’는 목회자(34%)가 ‘걱정하지 않는다’는 목회자(23.3%)보다 많았다. ‘보통’이라고 답한 이들은 42.7%였다. 목회자 10명 중 7명 정도(70.4%)는 은퇴한 뒤 겪게 될 어려움으로 ‘건강 악화’(37.6%)와 ‘경제적 어려움’(32.8%)을 꼽았다. ‘무위(無爲)로 인한 시간활용 문제’(11.4%) ‘비생산적인 존재로 인식’(8.4%) 등도 은퇴 후 목회자들의 주된 고민거리로 제시됐다.


‘현재 준비 중인 노후대비 수단’으로는 목회자 2명 중 1명 정도(49.6%)가 교단 은급제도를 중복으로 꼽았다. 기초·국민 연금 같은 공적 연금제도(34.7%)와 개인연금·저축 등 개인적인 준비(21.8%) 등이 뒤를 이었다. ‘노후준비 수단이 없다’는 응답도 26.3%를 차지했다. 은퇴 후 가족으로부터 지원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는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88.9%였다. 가능하다는 목회자는 11.1%에 그쳤다.


교단 은급제도는 개신 교단 가운데 8개 교단이 운영 중이다. 평균 가입률은 48.6%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조사를 총괄한 국민연금연구원 유희원 연구원은 “주요 개신교단들의 은급 제도는 상대적으로 급여수준이 높고 위험분산 범위가 좁아 고령화에 따른 재정문제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재정 안정화 조치와 함께 교단·교회 규모에 따른 노후소득보장 수준의 격차 문제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박재찬 기자


-국민일보, 201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