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님깨 드립니다. 누님과 조카들도 별고 없으시고 가개도 잘되시는지요. 오늘도 썹시 51도. 시원한 냉막걸리 생각 간절합니다. 비행기 뜰 적마다 가고싶은 내 고향. 첫달 봉급 26만원 송금했습니다. 형님, 다음에 만나 웃어봅시다." 맞춤법이 틀린 곳이 많다. 그러나 좁은 우편엽서에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 남부럽지 않은 미래를 만들겠다는 열망이 가득하다. 1970년대 중동에 나가 일했던 근로자가 보내온 편지다.
▶고향의 아버지가 중동의 아들에게 보낸 편지도 있다. "너는 우리 가문의 빛나는 별이 될 材木(재목)이니라. 비록 먼 땅에서 돈을 번다고 고생하지만 그것으로 만족할 수 없다.… 8월 15일은 할아버지 기일이다. 기억해라." 어느 파독(派獨) 간호사는 "은행에 가 송금하고 기숙사에 돌아올 때면 그렇게 발걸음이 가벼울 수 없었다"고 썼다. 그 돈으로 동생이 대학에 들어가 장학금을 받았다는 소식을 들으면 더욱 힘이 났다고 했다.
▶모두가 힘들고 배고팠던 시절이었다. 그래도 노력하면 오늘보다 나은 내일이 있다는 희망이 모두를 버티게 했다. 한국인 한 사람 한 사람의 피와 땀이 밴 기록과 물건들이 이제 대한민국 64년을 후대(後代)에 증언할 역사가 됐다. 크고 작은 역사 자료 4만여점을 모은 '대한민국 역사기념관'이 26일 서울 세종로에서 문을 연다.
▶전시품 설명문에서 5·16은 '군사 정변'으로 기록됐다. 10월 유신으로 '민주주의가 실종됐다'고 썼다. 60~80년대 반공주의의 뒷면에는 '인권 탄압과 고문, 사상의 자유 박탈이라는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워졌다'고도 했다. 전태일로 상징되는 산업화의 그늘, 유신 반대와 6월 항쟁 같은 민주화 운동에도 적지 않은 공간을 배려했다. 기념관을 둘러본 후 "나와 우리 편의 역사는 홀대받았다"고 섭섭해할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사실 그렇게 서로 부대끼며 살아왔던 게 우리 역사다.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그걸 고쳐가는 과정 역시 우리의 새로운 역사가 될 것이다.
-조선일보 만물상, 2012/12/24
-----------------------------------------
26일 개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파독(派獨) 간호사들이 사용 했던 혈압계와 단체 사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공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26일 개관을 앞두고 20일 언론 공개회를 가졌다. "박물관이 아닌 정권 치적 홍보관" "졸속 개관" 등 일부에서 제기한 시각 편향 논란을 의식해 최대한 균형을 맞추려 애쓴 흔적이 역력했다. '대한민국의 성장과 발전'(1961~1987년)을 다룬 제3전시실이 대표적. 새마을 운동 코너 옆에 유신 반대운동 자료 등을 모아 '시민 사회의 성장과 민주주의'를 다룬 진열장을 마련하고, 바닥엔 조명으로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등 민주화 구호를 쏘았다. 김왕식 대한민국역사박물관장은 "균형적 역사시각으로 경제발전, 민주화 등을 기록하려 했다"고 강조했다.
- 26일 개관하는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 전시된 최초의 국산 자동차‘시발(始發)’. 1955년 미군 지프 부품과 엔진을 조립해 만든 이 차는 택시로 사용됐다. 전시품은 박물관 측이 설계도를 바탕으로 새로 만든 것이다. /이덕훈 기자
대한민국의 기초 확립(1945~1960년)이 테마인 제2전시실엔 미군 지프를 재생해 1955년 탄생한 최초의 국산 자동차 시발(始發) 등이 소개됐고, 4.19 혁명 관련 동영상을 상영하는 독립공간도 마련됐다. 제3전시실엔 대한민국 1호 고유모델 자동차인 '포니' 등이 나왔으며, 1988년 이후 대한민국의 선진화와 세계로의 도약을 주제로 삼은 제4전시실엔 서울올림픽 관련 자료, 스마트폰 등이 전시됐다.
-조선일보, 2012/12/21
-------------------------------------------------
[옛 문화부 청사 리모델링]
담백한 건물, 여백의 美 담아… 이달 말 준공 연말 개관 예정
건물 중앙 ㄷ字 역사街路, 옥상정원선 경복궁 한눈에
-
- 정림건축 김진구 대표.
"정직하게, 많은 언어를 안 쓰는 '담백한 건물'을 만들고자 했다." 최근 한창 막바지 공사 중인 역사박물관에서 만난 정림건축 김진구(59) 대표는 "경복궁 등 주변의 역사적인 맥락을 고려해 자기 목소리를 내는 요란한 건물이 아닌, 도시·역사·대지의 기억을 엮는 역할에 충실한 얌전한 건물로 설계했다"고 했다.
이 주제의식은 '여백의 미'를 담은 흰색의 외피로 표현됐다. 기존 콘크리트 외벽 밖으로 70㎝ 정도 간격을 두고 길이 3.3m, 폭 28㎝의 흰색 반투명 유리 루버(louver·기류나 빛의 투과를 조절하기 위한 판)를 일정한 간격으로 붙여 더블스킨(이중외피)을 구현했다. 창호지를 균일하게 붙인 것 같기도 하고, 전체적으로 은은한 백자 느낌도 준다. 유리 외벽이 하늘빛의 변화를 그대로 흡수해 맑은 날과 흐린 날의 표정이 다르다. "외부와 교감하는 감성적 외피"라는 설명이다.
외피는 중의적(重義的) 기능을 한다. 유리판 사이로 기존 건물의 외벽이 보이게 함으로써 시간의 켜를 느끼게 하는 '은유적 역할', 햇빛을 차단해 열효율을 높이는 '기능적 역할'이다. 옛 문화부 청사는 바로 옆 주한 미국대사관과 쌍둥이 건물로 1961년 미군이 발주해 필리핀 업체가 시공했다. 구(舊)경제기획원 건물로 쓰이기도 했다. 김 대표는 "경제기획원은 70~80년대 우리의 압축 경제 성장을 이끌었던 본산으로 건물 자체가 우리의 현대사를 상징한다"며 "그래서 건물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여기에 깃든 시간의 흔적을 살렸다"고 했다.
'시민에 열린 박물관'을 만드는 것도 주요 설계 포인트였다고 한다. 50년간 공공을 위해 일하면서도 대중에 빗장을 굳게 걸어 잠갔던 청사 건물을 박물관으로 바꿔 진정한 의미에서 공공에 환원한다는 측면 때문이었다.
개방성 측면에서 핵심 공간은 건물의 중앙에 있는 '역사가로'다. 기존 건물에 별관을 이어 붙여 전체적으로 '디귿(ㄷ)'자로 구성된 박물관의 가운데 부분으로, 북쪽의 '광화문 시민 열린 마당'과 남쪽의 미 대사관을 잇는 보행가로인 동시에 옥외 전시장을 겸한다. 김 대표는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시민 열린 마당'을 구름다리로 잇는 방안을 제안했는데 현재는 서울시 등 유관기관과 협의 중인 상태"라며 "향후 미 대사관이 이전하면 이 가로를 미 대사관까지 공중으로 연결하는 것까지 염두에 뒀다"고 했다.
1·2층은 시민의 쉼터 목적으로 비워두고 본격적인 관람은 3층의 제1전시실에서 시작돼 5층의 제4전시실까지 이어진다. 시민들이 광화문광장 쪽 인도에서 바로 3층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왼편에 진입 계단도 만들었다. 이 진입 계단 끝에 있는 카페와 쉼터에서 시민들은 경복궁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다. 경복궁 조망은 옥상정원과 5층 전시실의 통창에서도 이뤄진다. '경복궁을 가장 가까이서, 다양한 각도에서 즐길 수 있는 전망대'인 셈이다.
-조선일보, 2012/5/12
'자기계발 > 기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북어린이 (0) | 2013.01.05 |
---|---|
2012 조선일보 선정 10대 뉴스 (0) | 2012.12.26 |
大탕평, 핵심 권력기관장 人事에 달렸다 (0) | 2012.12.24 |
박근혜 당선인, 겸허하게 온 국민 껴안는 걸로 시작하라 (0) | 2012.12.20 |
5년마다 듣는 12월 19일 밤의 다짐 (0) | 201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