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금융위기 격변 겪은 한국, 우울증 환자 10년새 63% 늘어
압축성장 과정에서 발생한 빈부격차·경쟁심화도 원인
정신질환을 미친사람 취급, 사회적 낙인이 병 키워…
美환자 39%가 병원 찾지만 한국은 15%만 진료 받아
광복 후 짧은 기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빈부격차, 경쟁 심화 등이 많은 국민들을 우울증 같은 정신질환으로 몰아넣었다는 것이다. 특히 최근 10여년간 IMF금융위기, 카드대란, 글로벌 금융위기 등 사회에 충격파를 던진 초대형 사건이 잇달아 터지면서 실직자, 미취업자 등 소외·빈곤계층이 급격히 불어났고 그들 중 정신질환자가 크게 늘었다. 세계 최강도의 대학 입시 스트레스도 청소년 우울증을 불렀다. 하지만 우리 국민들 사이에 광범위하게 번진 우울증에 대한 대책은 부족했다.
보건복지부의 2011년 정신질환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우울증·불안장애 등을 앓는 정신질환자 7명 중 한 명(15.3%)만이 정신과 의사 등 전문가와 상담을 하거나 병·의원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방식으로 조사한 미국의 2010년 정신의료서비스 이용 비율 39.2%와 비교해 절반도 안 되는 수치다. 우리나라 정신질환자 대부분이 혼자 끙끙 앓다가 자살 시도 등 극단적인 선택을 하거나 병을 악화시키고 있다는 얘기다.
정신의학 전문가들은 이런 현상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낙인(烙印)'을 꼽는다.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아직도 정신질환을 앓는다고 하면 '미친놈' '정신병자'로 취급받기 일쑤다. 이들은 민간 보험에 가입하기도 힘들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정신질환자가 병의원 진료를 기피하거나 마치 죄인처럼 몰래 쉬쉬하며 다닌다.
정신질환자의 범죄율이 높다는 인식도 이같은 '낙인 효과'를 증폭시킨다. 하지만 실제는 다르다. 2000년 대검찰청이 발표한 '범죄백서'에 따르면 교통범죄를 제외한 일반인의 범죄율은 2.5%, 정신질환자는 1.8%로 조사됐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는 "정신질환에 대한 잘못된 편견이 그들이 제대로 된 정신의료서비스를 받아 질병에서 조기에 회복하는 데 최대 방해 요인"이라고 말했다.
정신질환자들은 치료만 잘 받으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고려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는 "정신질환 치료제 복용에 대한 주변의 편견과 이해 부족으로 (환자들이)약물 복용을 꺼리거나 중단하는 사례가 매우 많아 '정신질환은 잘 낫지 않는다'는 오해를 부른다"고 말했다.
건국대병원 하지현 교수는 "정신질환은 이제 고혈압·당뇨병처럼 누구나 한번은 앓을 수 있는 신체 질환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며 "(정신질환을) 외면하고 자꾸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려고만 하면 정신질환을 더 크게 키우는 결과를 낳는다"고 말했다.우울증 막으려면…
정신질환자의 범죄율이 높다는 인식도 이같은 '낙인 효과'를 증폭시킨다. 하지만 실제는 다르다. 2000년 대검찰청이 발표한 '범죄백서'에 따르면 교통범죄를 제외한 일반인의 범죄율은 2.5%, 정신질환자는 1.8%로 조사됐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는 "정신질환에 대한 잘못된 편견이 그들이 제대로 된 정신의료서비스를 받아 질병에서 조기에 회복하는 데 최대 방해 요인"이라고 말했다.
정신질환자들은 치료만 잘 받으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고려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 교수는 "정신질환 치료제 복용에 대한 주변의 편견과 이해 부족으로 (환자들이)약물 복용을 꺼리거나 중단하는 사례가 매우 많아 '정신질환은 잘 낫지 않는다'는 오해를 부른다"고 말했다.
건국대병원 하지현 교수는 "정신질환은 이제 고혈압·당뇨병처럼 누구나 한번은 앓을 수 있는 신체 질환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며 "(정신질환을) 외면하고 자꾸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려고만 하면 정신질환을 더 크게 키우는 결과를 낳는다"고 말했다.
--------------------------------------------------------
우울증 막으려면…
명상·복식 호흡 같은 자기만의 해법도 필요
우울증은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 우울증은 유전적, 생화학적, 환경적, 심리학적 요인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는 뇌의 질병이라는 정도로 알려졌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신경 전달물질의 균형이 깨져 기분, 사고, 수면, 식욕, 행동을 조절하는 데 관여하는 뇌의 부분이 비정상적으로 기능한다는 것 정도만 밝혀진 것이다.
따라서 현재로선 예방법도 입증된 것은 없다. 다만 전문가들은 몇 가지 공통된 조언을 내놓는다. 강북삼성병원 정신과 신영철 교수는 "누구나 생활 속에서 느끼는 일시적 우울감이 병적인 우울증으로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좀 우울해지더라도 식사를 거르지 않고 규칙적으로 하고 일상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우울증 예방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평소 부정적인 생각을 많이 할 경우 우울증이 발생하거나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생활태도를 갖는 것도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는 "우울증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소 스트레스 관리법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가벼운 우울증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명상이나 복식호흡 같은 이완운동,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인지치료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우울증 발생을 30% 정도 낮출 수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있다. 특히 조깅이나 자전거 타기, 에어로빅 등 중간 강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것이 우울증 예방에 좋다. 홍 교수는 "운동을 하면 신체기능이 좋아지고 뇌에서도 세로토닌이나 엔도르핀, 신경재생물질 등이 증가해 뇌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친구나 가족관계를 잘 맺는 것도 중요하다. 친구나 가족의 정서적인 지지를 받고, 가까운 사람들과 취미활동을 함께할 경우 우울증 치료효과와 함께 예방효과가 있다. 술이나 약물은 우울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가족이나 친구의 경우 환자를 정서적으로 이해해주고, 환자를 대화에 참여시켜 적극적으로 경청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혹시라도 자살에 대해 언급하면 무시하지 말고 담당의사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재로선 예방법도 입증된 것은 없다. 다만 전문가들은 몇 가지 공통된 조언을 내놓는다. 강북삼성병원 정신과 신영철 교수는 "누구나 생활 속에서 느끼는 일시적 우울감이 병적인 우울증으로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좀 우울해지더라도 식사를 거르지 않고 규칙적으로 하고 일상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우울증 예방의 방법"이라고 말했다.
평소 부정적인 생각을 많이 할 경우 우울증이 발생하거나 재발할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생활태도를 갖는 것도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진표 교수는 "우울증은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소 스트레스 관리법을 익혀두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가벼운 우울증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거나 명상이나 복식호흡 같은 이완운동,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인지치료만으로도 좋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우울증 발생을 30% 정도 낮출 수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있다. 특히 조깅이나 자전거 타기, 에어로빅 등 중간 강도 이상의 운동을 하는 것이 우울증 예방에 좋다. 홍 교수는 "운동을 하면 신체기능이 좋아지고 뇌에서도 세로토닌이나 엔도르핀, 신경재생물질 등이 증가해 뇌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친구나 가족관계를 잘 맺는 것도 중요하다. 친구나 가족의 정서적인 지지를 받고, 가까운 사람들과 취미활동을 함께할 경우 우울증 치료효과와 함께 예방효과가 있다. 술이나 약물은 우울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가족이나 친구의 경우 환자를 정서적으로 이해해주고, 환자를 대화에 참여시켜 적극적으로 경청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혹시라도 자살에 대해 언급하면 무시하지 말고 담당의사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조선일보, 2012/2/16
'상담 > 상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도 울지 못하니까 중년이다. (0) | 2012.12.13 |
---|---|
알코올·도박·인터넷 中毒 사회 심상치 않다 (0) | 2012.12.13 |
인터넷 중독 알아보는 체크 리스트 (0) | 2012.01.20 |
[스크랩] 여러가지 성격장애 (0) | 2011.12.25 |
노르웨이 테러범 16년간 아버지와 단절된 생활 (0) | 2011.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