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본질/전도(선교)

이슬람·독재… '태풍의 눈' 중앙아시아 5國

하마사 2011. 4. 7. 09:24

 

물가 급등에 민심 폭발직전… 美·러·유럽 "제발 잠잠하길"

중동과 중앙아시아를 잇는 통로에 있는 아제르바이잔에서 최근 반정부 시위가 일어나자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의 이슬람 5개국으로 시위가 번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졌다.

이들 5개국은 석유·천연가스 보유국인 데다 대테러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급격한 정치변화가 일어나면 국제사회에 중동 못지않은 파급효과를 끼칠 것이란 견해도 있다.

중앙아시아 5개국의 상황은 최근 민주화 시위가 일어난 중동·북아프리카 상황과 흡사하다. 과거 소련에 속했던 이들 국가는 이슬람이 국교(國敎)이고 대부분 장기 집권 독재 체제이다. 카자흐스탄의 나자르바예프, 우즈베키스탄의 카리모프 대통령은 집권 20년이 넘었다.

중동에서 반정부 시위의 도화선이 된 종파·부족 갈등과 유사한 문제가 이 지역에도 잠재해 있다. 지난해 6월 키르기스스탄에서 키르기스계와 우즈벡계 간 충돌로 170여명이 사망하고 1800여명이 다쳤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작년 자연재해로 인한 세계 곡물 가격 상승 등으로 물가가 급등하자 국민들의 불만이 축적된 상태다.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은 작년 물가가 각각 15%, 12% 올랐다.

그러나 이 지역의 민주화 시위가 급속히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주변 강대국들의 이해관계 때문이다. 미국 입장에서 중앙아시아는 아프가니스탄전 수행에 필요한 지원세력이다.

유럽은 카스피해의 석유 공급에 차질이 생기지 않기를 바란다. 카스피해 지역은 매장된 원유가 추정치까지 포함해 2500억~3000억 배럴(전 세계 매장량의 약 20%)로 중동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러시아는 친(親)러시아파인 현재 중앙아시아 정권들이 흔들리는 것을 원치 않으며, 최대 에너지소비국인 중국 입장에서도 중앙아시아의 안정적인 석유와 자원 공급은 중요하다.

정보화 진전이 더딘 것도 이 지역의 민주화 속도가 빠르지 않을 것으로 보는 요인이다. 투르크메니스탄의 경우 2008년에야 일반 국민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졌고, 요즘도 무제한 인터넷을 쓰려면 연 7000달러의 요금을 내야 한다.

 

-조선일보, 201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