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9일 청와대 수석 6명을 내정하면서 새 정부 내각(內閣)과 청와대 수석 이상 인사가 마무리됐다. 네 차례에 걸쳐 이뤄진 박 당선인 인사에 대해 상당수 국민들은 "정상(正常)은 아니다"라는 느낌을 받고 있다. 어느 부분은 치우치고 어느 부분은 빠진 인사의 균형 감각 결여가 국민에게 그런 식으로 전달된 것이다. 국무총리와 청와대 비서실장이 같은 지역 같은 대학 출신인 데다 사정(司正)의 양축이라는 법무장관과 민정수석은 단과대학 동문이다. 지난 18일 3차 인선 때 발표한 청와대 비서실장을 비롯한 네 명은 모두 같은 대학 출신이었다. 이런 인사는 역대 어느 정권 때도 없던 일이다. 박 당선인은 지난 대선 이후 여러 차례 '대탕평 인사'를 약속했었다. 그러나 이번 인사에서 그런 탕평의 의지를 읽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 그러다 보니 초등학교 때 고향을 떠나 이후 지역과 아무런 인연도 맺지 않고 살아온 사람들을 그곳에서 태어났으니 그곳 사람이라고 우기는 일까지 벌어졌다.
박 당선인이 의도를 갖고 이런 '쏠림 인사'를 한 것은 아닌 듯하다. 박 당선인이 "출신 지역·학교를 따지지 않고 능력 위주로 사람을 쓰겠다"던 평소 다짐대로 인사를 하다 보니 우연히 나온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국정(國政)을 펼쳐가는 데 의도보다 중요한 것이 결과이고, 그 결과가 국민에게 어떻게 비칠까를 염려하고 배려하는 것이 정치다.
민간 기업들도 큰 인사를 할 때 먼저 능력을 보면서 적임자들을 추려낸다. 그러나 마지막 단계에선 특정 학교나 지역 출신이 편중됐거나 배제됐는지 살피며 보완·수정 작업을 거치는 것이 상식이다. 인사에서 학연(學緣)·지연(地緣) 같은 원초적 인간관계에 쏠림 현상이 발생하면 후유증을 낳고 조직에 주름이 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느 나라나 나라의 인사는 균형을 잃지 않도록 정치적 배려를 하는 게 관례다.
학교나 고향이 같은 사람들이 요직에 집중 배치되면 이들 사이 사적(私的) 친밀감 덕분에 협조가 원활해질 수는 있다. 반면 큰 조직에서 반드시 필요한 상호견제 기능이 무뎌지면서 작은 문제를 큰 문제로 키우는 심각한 부작용도 따른다. 재계에서 어느 재벌 기업이 쓰러지게 된 원인의 하나로 특정 학맥(學脈) 출신만 중용한 인사 편중(偏重)을 지적하는 것만 봐도 조직의 체질(體質)적 균형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박 당선인의 이번 인사를 지켜보면서 당선인의 측근들마저 "인사 발표 때 최소한 고려해야 할 균형이 무시됐다"고 걱정하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박 당선인의 인사는 개인 수첩에 적힌 정보에 따라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이며, 당선인이 한번 인사 구상을 하면 그것을 균형 감각이라는 기준에 따라 보완하는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는다는 증거다.
박 당선인이 앞으로 정책을 펼치는 과정에서도 정책적 편중 현상이 없도록 균형을 맞추는 일이 중요하다. 박 당선인은 국민의 우려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심사숙고해야 한다.
-조선일보 사설, 2013/2/20
'자기계발 > 기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록과 보존의 소중함 (0) | 2013.02.22 |
---|---|
일기 쓰는 것의 미덕 (0) | 2013.02.20 |
레슬링 (0) | 2013.02.14 |
영화와 옛날 예기 (0) | 2013.02.14 |
세뱃돈 (0) | 201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