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가정예배
인도자: 가족중
우리민족의 고유 명절인 추석을 맞이하여 풍성한 은혜를 베풀어주신
하나님께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드립시다.
묵상기도 ···················································································· 다 같 이
기 도 ························································································· 인 도 자
아버지 하나님, 감사합니다. 올 한 해도 지금까지 우리 가족을 품어주시고 사랑하여 주셔서 오늘 이렇게 한 자리에 모이게 해 주신 은혜에 감사를 드립니다. 이 시간 우리 가운데 함께 하셔서 우리 가족 모두가 주안에서 서로 화목하고 건강하며 이 한 해 동안 하나님 앞에서 품은 선한 뜻을 반드시 이룰 수 있도록 은혜 내려 주시옵소서.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 드립니다. 아멘.
찬 송························ 301장(통일찬송가 460장) ·························· 다 같 이
신앙고백 ·································· 사도신경······································· 다 같 이
나는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 천지의 창조주를 믿습니다. 나는 그의 유일하신 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습니다. 그는 성령으로 잉태되어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시고, 본디오 빌라도에게 고난을 받아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장사된 지 사흘 만에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나셨으며, 하늘에 오르시어 전능하신 아버지 하나님 우편에 앉아 계시다가, 거기로부터 살아 있는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십니다. 나는 성령을 믿으며, 거룩한 공교회와 성도의 교제와 죄를 용서받는 것과 몸의 부활과 영생을 믿습니다. 아멘.
성경말씀 ··································· 시 136:1~3···································· 인 도 자
1 여호와께 감사하라 그는 선하시며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2 신들 중에 뛰어난 하나님께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3 주들 중에 뛰어난 주께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설 교 ···························· 감사해야 하는 이유 ······························ 맡 은 이
오늘은 우리 민족 고유의 명절 추석입니다. 함께 예배할 수 있도록 인도하신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
시편 136편에는 총 26회의 감사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원래 ‘감사(Thank)’라는 단어는 ‘생각해 보다(Think)’는 단어와 같은 어원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가 언제 감사할 수 있을까요? 생각하면 감사할 수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좋은 부모님 주신 것 감사하고, 생각해 보면 건강주신 것 감사하게 됩니다. 우리 가족이 남은 한해 감사가 넘쳐나는 가족의 삶이되길 바랍니다.
오늘 말씀은 다시 한 번 우리 인생에서 감사해야 할 중요한 이유들에 대해서 말씀해 주고 있습니다. 하나님을 믿는 우리 가정이 하나님 앞에서 감사해야 할 이유가 무엇일까요?
1. 하나님은 선하시고 인자하시기 때문입니다. (1절)
하나님은 우리 인생을 선하게 인도하시는 분이십니다. 우리가 잘못된 길을 가고 그래서 때론 실패인 것 같고 넘어지는 것 같지만, 하나님께서는 결국 우리 모두를 선한 길로 인도해 주실 것입니다. 그래서 롬8:28절에서는 이렇게 말씀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우리 인생에서 때론 실패와 좌절을 만날 수도 있지만,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그래서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사람은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룰 줄로 믿습니다.
2. 하나님은 참된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2절)
누가 우리 인생의 모든 길을 합력하여 선을 이룰 수 있을까요? 그것은 참된 하나님만이 가능한 것입니다. 그래서 시편기자는 이렇게 고백합니다.
“신들 중에 뛰어난 하나님께 감사하라. 그 인자하심이 영원함이로다.”
모든 신들 중에 가장 뛰어나신 하나님, 그 하나님이 우리들의 모든 인생길을 인도해 주십니다. 한 치의 오차도 없고, 한 번의 실수도 없이 우리 길을 신실하게 인도해 주십니다. 그렇게 때문에 성경은 그 하나님만이 참된 신이시고, 참된 하나님이라고 말씀하고 있는 것입니다. 남은 한해 우리 가족 모두 한 치의 실수도 없으신 그 하나님을 믿고 따라가는 가족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3. 하나님은 우리 인생의 참된 주인이시기 때문입니다. (3절)
우리 인생의 참된 하나님, 그 하나님은 우리 모두의 길을 합력하여 선을 이루시는 분입니다. 그 하나님 앞에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우리가 그 하나님을 믿고, 내 인생의 참된 주인으로 모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주들 중에 가장 뛰어난 주님, 그 주님을 붙들고 살아가는 삶, 그 삶만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는 길입니다.
때론 우리 가정 안에 어려움도 있었고, 문제가 있을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때마다 하나님은 우리 가족 모두를 가장 선한 길로 인도해 주었습니다. 우리 모두가 우리 인생의 길을 인도하시는 하나님을 신뢰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우리 가족 모두 하나님을 내 인생의 주인으로 모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때 우리 인생의 신실하신 하나님이 우리 가족 모두의 삶을 가장 선하고 아름다운 길로 인도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기 도 ····················································································· 설 교 자
나눔시간 ················································································· 맡 은 이
① 가족별로 나누고 싶은 이야기들(감사한 것)
② 기도 제목이나 앞으로의 계획
찬 송 ························· 559장(통일찬송가 305장) ························ 다 같 이
주기도문 ················································································· 다 같 이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시며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소서. 오늘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을 용서하여 준 것 같이 우리 죄를 용서하여 주시고 우리를 시험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나라와 권능과 영광이 영원히 아버지의 것입니다. 아멘.
가족이란 말에는 사랑이 담겨 있다. 말이 중요하다. 덕담을 나누면 가슴이 따뜻해진다. 하지만, 말 때문에 상처받고 올 수도 있다. ■ 가족, 있는 그대로를 봐주라 명절 때만 되면 싸우는 집이 있다. 원인은 여러 가지지만 자신의 잣대로 상대방을 바꾸려 하기 때문이다. 산과 들에 핀 꽃이 모두 다르듯이 사람도 모두 다 다르다. 그 다른 점을 품어 안아주라. ■ 절대 비교하지 말라 명절은 덕담을 나누는 때다. “어느 대학 다니니?” “반에서 몇 등 하니?”와 같은 질문은 금물이다. ■ 부모님의 잔소리에 감사하라 부모님의 잔소리는 자식에 대한 걱정 때문이다. 짜증내지 말고 그 안에 담긴 사랑을 느끼고 받으라. “잔소리 좀 그만하세요.”라며 짜증내는 것은 부모님의 가슴에 못을 받는 짓이다. 특히 어머니의 말은 잘 들어주라. 힘들었던 옛일을 말하면 손을 잡고 공감해주라. ■ 돌아올 때 더욱 조심하라 명절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올 땐 피로 때문에 예민한 상태다. 남편은 장거리 운전으로, 아내는 부엌일로 피곤할 수밖에 없다. 서로 고생했다고 칭찬해주라. 서운했던 일은 잊으라. 고맙다, 고생했다 두 가지만 말하라. ♥ 감사합니다 !! 사랑합니다 !! ♥ |
'교회본질 > 예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신년축복예배 순서 (0) | 2012.12.31 |
---|---|
추석맞이 추모예식 (0) | 2012.09.30 |
우리소망교회 입당예배 순서지 (0) | 2012.07.14 |
추도예배순서지5 (0) | 2012.06.06 |
백수감사예배 순서지 (0) | 2012.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