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代 117년 걸친 한국 사랑… 연세대 세브란스 인요한 소장 '특별귀화자' 국적 취득
사방에서 웃음과 함께 박수소리가 터져 나왔다. 4대(代)가 117년 동안 변치 않는 '한국 사랑'을 이어온 미국인 집안에서 마침내 첫 '한국인'이 탄생하는 순간이었다.
- 21일 오후 경기도 과천 법무부청사에서 인요한(53) 박사가 권재진 법무장관으로부터 대한민국 국적 증서를 받고, 태극기를 들어 보이며 웃고 있다. 인요한 박사는 4대에 걸쳐 우리나라의 교육, 복지 등 사회발전에 공헌한 미국 기독교선교사 집안의 후손이다. /이태경 기자 ecaro@chosun.com
"대한민국에 특별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국적을 허용한다"는 국적법에 따라 선대(先代)의 공로로 후손들이 특별귀화 허가를 받은 경우는 있었다. 하지만 자신의 공로로 특별귀화자가 된 것은 인 소장이 처음이다.
실제로 그의 가계(家系)는 선교·독립운동·교육·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 세기가 넘도록 한국을 위해 피와 땀을 흘린 기록으로 가득하다. 첫 인연은 1895년 인 소장의 외증조부인 유진 벨(Bell·한국명 배유지) 선교사가 한국 땅에 발을 디디면서 시작됐다. 벨 선교사는 '전남 지역 선교의 아버지'라 불릴 정도로 활발한 선교활동을 했다. 그의 사위인 윌리엄 린튼(Linton·한국명 인돈)은 독립운동에 뛰어들어 일제강점기 때 신사참배 거부 등 항일운동을 주도했고, 이후 한남대학을 설립했다.
인 소장의 아버지 휴 린튼(한국명 인휴)은 말 그대로 이 땅에서 피를 흘리고 뼈를 묻었다. 한국전쟁 당시 군인으로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고, 1984년 농촌 선교 사업 도중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무덤은 전남 순천에 있다. 인 소장이 한국형 구급차를 개발하게 된 계기가 바로 아버지의 죽음이었다. 휴 린튼은 적정한 응급조치를 제대로 받지 못한 채 택시로 병원에 옮겨지던 중 숨을 거뒀기 때문이다. 인 소장은 "농촌의 좁은 길까지 올 수 있는 구급차만 있었어도 아버지는 살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1993년 미니버스를 개조해 좁은 길에서도 쉽게 달릴 수 있도록 설계된 한국형 앰뷸런스를 만들었다.
인 소장은 그동안 몇 번이나 귀화하려고 했지만, 그때마다 어머니가 반대했다. "어머니는 (미국에 대한) 애국심이 워낙 강해 내 귀화를 반대하셨어요. 너무 속상했지만 어쩔 수 없었죠."
인 소장은 이번 특별귀화허가를 받으면서 '외국국적 불행사 서약'을 통해 미국시민권도 유지할 수 있게 됐다. 덕분에 어머니를 안심시키면서 진짜 한국사람이 된 것이다. "나는 전라도 전주에서 태어나 계속 한국에서 자란 토종 한국인이라오. 항상 한국에 살면서도 10% 부족한 마음이었는데 이젠 특별귀화 제도 통해서 100% 한국 사람이 됐응게 아주 기뻐요. 나는 어차피 여기서 뼈를 묻을 거니까. 이제 마음이 더 편하니까 오늘부터 더 다리 쭉 뻗고 잘라고."
------------------------------------------------------------------------
- 권재진 법무장관이 21일 오후 과천 법무부청사에서 구한말부터 4대에 걸쳐 우리나라의 교육, 복지 등 사회발전에 공헌한 미국 기독교선교사 집안의 후손인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 인요한박사(53)에게 대한민국 국적증서를 수여한뒤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인요한박사는 본인의 공로로 국적을 취득한 최초의 특별귀화자가 됐다. /연합뉴스
4대에 걸쳐 한국 교육·복지·의료 분야 발전에 기여해 온 미국 기독교 선교사 후손인 인요한(53)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이 특별귀화했다.
선대(先代)의 공로로 후손들이 특별귀화 허가를 받은 경우는 있었지만 자신의 공로로 특별귀화자가 된 것은 인 소장이 처음이다.
법무부는 21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대한민국에 특별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국적을 허용한다'는 국적법에 따라 인 소장을 특별귀화자로 선정하고 한국 국적을 부여했다.
인 소장은 구한말인 1895년 미국 남장로교에서 파송된 고(故) 유진벨(한국이름 배유지) 선교사의 외증손이다. 유진벨씨의 사위이자 인 소장의 할아버지인 故 윌리엄 린튼(한국이름 인돈)은 일제강점기 때 신사참배 거부 등의 항일운동을 하고 지금의 한남대학교를 설립하는 등 국권회복과 교육사업에 헌신한 공로로 2010년 건국훈장 애족상을 추서받았다.
또 인 소장의 아버지인 故 휴 린튼(한국이름 인휴)은 한국전쟁에 참전, 1960년 순천에 결핵진료소와 요양원을 세워 결핵퇴치 활동을 한 바 있다.
이같이 구한말 파송된 선교사로부터 시작된 '한국 사랑'은 4대째 이어졌다.
인 소장은 전북 전주시에서 태어나 전남 순천시에서 성장했다. 연세대 의대(1987년)와 고려대 의과대학원(2003년, 박사)을 졸업했으며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과 연세대 가정의학과 주임교수를 역임했다.
인 소장은 남북 의료분야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1993년엔 한국형 구급차를 개발, 119 응급구조 체계의 산파역할을 했다.
또 유진벨재단 이사장인 친형 스티븐 린튼(62·한국명 인세반)과 함께 1997년부터 26차례에 걸쳐 북한을 방문, 결핵약품과 의료장비를 무상 지원하는 등 북한 결핵퇴치사업을 벌이기도 했다.
인 소장은 이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2005년 10월24일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여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내 고향은 전라도, 내 영혼은 한국인'(2006년)이 있다.
인 소장은 한국에서 특별귀화 허가를 받았지만 '외국국적 불행사 서약'을 통해 기존의 미국시민권도 유지키로 했다. 2010년 5월 개정된 국적법에 따르면 한국에서 외국 국적을 행사하지 않겠다고 서약하면 '외국 국적 포기 의무'를 면제받게 된다.
-조선일보, 2012/3/22
'설교 > 예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교사의 후손 (0) | 2012.03.23 |
---|---|
초등학교 교장선생님 (0) | 2012.03.23 |
다리, 아버지의 사랑, Most, The Bridge (0) | 2012.03.20 |
레나 마리아 동영상 (0) | 2012.03.10 |
사람의 평가 (0) | 2012.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