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딱한 바닥서 오래 근무 무리한 운동도 발병 원인"
발바닥의 질긴 섬유띠(근막)에 염증이 생겨 발을 디딜 때마다 심한 통증을 느끼는 '발바닥근막염'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무리한 운동, 하이힐 등 불편한 신발, 체중 증가 등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14일 최근 5년(2007~2011년)간 발바닥근막염 환자 수는 2007년 4만1000명에서 지난해 2.6배인 10만6000명으로 급증했다고 말했다. 연평균 증가율도 26.7%에 달했다. 작년 기준으로 여성(57.5%) 환자가 남성(42.5%)보다 많았고, 30~50대가 전체의 64.7%를 차지했다. 이 질환은 발바닥근막이 반복적으로 미세 손상을 입어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남성은 30대까지 축구·농구 등 스포츠 활동을 많이 할 경우, 여성은 20대 이후 하이힐을 신고 장시간 생활할 경우 발바닥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지속적으로 가해져 추후 발바닥근막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강남성심병원 박용욱 교수(정형외과)는 "정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딱딱한 바닥에 오래 서서 근무할 경우, 장거리를 뛸 경우, 체중이 갑자기 늘어날 경우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하이힐의 경우 바닥이 딱딱해 유발 인자의 하나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심평원은 "발바닥근막염으로 통증이 있다면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면서 얼음 등으로 냉찜질을 해주고, 평소에는 스트레칭을 자주 하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은 14일 최근 5년(2007~2011년)간 발바닥근막염 환자 수는 2007년 4만1000명에서 지난해 2.6배인 10만6000명으로 급증했다고 말했다. 연평균 증가율도 26.7%에 달했다. 작년 기준으로 여성(57.5%) 환자가 남성(42.5%)보다 많았고, 30~50대가 전체의 64.7%를 차지했다. 이 질환은 발바닥근막이 반복적으로 미세 손상을 입어 염증이 생기는 것이다.
심평원 관계자는 "남성은 30대까지 축구·농구 등 스포츠 활동을 많이 할 경우, 여성은 20대 이후 하이힐을 신고 장시간 생활할 경우 발바닥에 비정상적인 부하가 지속적으로 가해져 추후 발바닥근막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강남성심병원 박용욱 교수(정형외과)는 "정확한 발병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딱딱한 바닥에 오래 서서 근무할 경우, 장거리를 뛸 경우, 체중이 갑자기 늘어날 경우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하이힐의 경우 바닥이 딱딱해 유발 인자의 하나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심평원은 "발바닥근막염으로 통증이 있다면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쉬면서 얼음 등으로 냉찜질을 해주고, 평소에는 스트레칭을 자주 하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선일보, 2012/8/15
'자기계발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 건강 후진국 (0) | 2012.10.27 |
---|---|
장삿속 과잉 의료를 고발하다… ‘척추 명의(名醫)’ 이춘성 교수 (0) | 2012.09.25 |
김의신박사 암 특강 (0) | 2012.07.04 |
정신 건강 후진국 (0) | 2012.06.26 |
허리통증 심하다고 척추 함부로 수술 마세요 (0) | 2012.04.05 |